728x90
반응형
재고관리
필요한 품목을, 필요한 수량만큼, 필요한 시기에 최소의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재고를 관리하는 것
재고의 분류
구분 | 세부내용 |
예상(비축)재고(anticipation stock) | 계절적인 수요 급등, 가격 급등, 파업 등으로 인해 생산중단이 예상될 때, 향후 발생할 수요를 대비하여 미리 생산하여 보관하는 재고 |
안전재고(safety stock) | 불확실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미리 확보하고 있는 재고 |
순환재고(cycle stock) | 일시에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이 주문하는 경우에 생기는 재고 |
수송(파이프라인)재고(pipeline stock) | 유통과정 중에 있는 제품이나 생산 중에 있는 재공재고 |
재고비용의 분류
1) 구매/발주비용(procurement cost)
- 주문과 관련된 비용
- 가격 및 거래처 조사비용
- 물품수송비, 하역비용, 입고비용
- 검사/시험비, 통관료
2) (생산)준비비용(production change cost)
- 생산공정의 변경이나 기계/공구의 교환 등으로 인한 비용
- 준비시간 중의 기계유휴비용
- 준비요원의 직접노무비/사무처리비/공구비용
3) 재고유지비용(holding cost)
- 자본비용
- 보관비용
- 재고감손비
재고유지비 = 가격 * 재고유지비융
자재소요계획 MRP
-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는 주생산일정계획을 토대로 하여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의 종류, 수량, 주문시기 등을 결정하는 과정
- 재료, 부품, 반제품 등의 종속적 수요를 갖는 자재의 소요량 및 조달시기에 대한 관리를 통하여 주문과 생산계획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만들어진 자재관리 비법
- MRP 산출을 위해서는 주생산일정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ing), 자재명세서(BOM: Bill of Material), 재고기록철(IRF: Inventory Record File)의 세 가지 주요 입력요소 필요
- 주생산일정계획(MPS) : 총괄생산계획을 수립한 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각 제품에 대한 생산시기와 수량을 나타내기 위해 수립하는 생산계획
- 자재명세서(BOM) : 제품구조정보, Part List 등으로 불리며, 모품목(제품, 반제품) 한 단위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자품목(재로, 부품, 반제품)의 품목, 규격, 소요량 등에 대한 명세서
- 재고기록철(IRF) : 자재관리 대상품목의 입출고에 관한 내역, 재고보유품목, 발주품목, 생산품목에 관한 사항을 기록
생산능력
작업자, 기계, 작업장, 공정 또는 조직이 단위시간당 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
- 개략생산능력계획(RCCP: Rough Cut Capacity Planning) : 기준생산계획(MPS)이 주어진 제조자원의 용량을 넘어서는지를 계산하는 모듈
- 능력소요계획(CRP: Capacity Requirement Planning) : 자재소요계획 또는 생산계획 활동 중에서 MRP 전개에 의해 생성된 계획이 얼마만큼의 제조 자원을 요구하는지를 계산하는 모듈
728x90
반응형
'자격증 공부 > ERP정보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정보관리사 오답노트(2) - 물류2급 - 공급망관리 (0) | 2023.07.12 |
---|---|
ERP정보관리사 오답노트(1) - 경영혁신과 ERP (0) | 2023.07.12 |
ERP정보관리사 생산2급 - 공정관리 (2) | 2023.07.10 |
ERP정보관리사 생산2급 - 생산계획 및 통제 (42) | 2023.07.05 |
ERP정보관리사 물류2급 - 구매관리 (4) | 2023.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