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2급
1. 다음 중에서 지역 및 시장별 할당을 이용하여 목표판매액을 할당하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교차비율 -> 제품 및 서비스별 할당
② 이익공헌도 -> 제품 및 서비스별 할당
③ 목표 시장점유율 -> 제품 및 서비스별 할당
④ 잠재구매력지수 -> 지역 및 시장별 할당
2. 의류업체 A사의 여신상황이 보기와 같다. A사의 자금조달기간으로 옳은 것은?
구분 | (단위 : 만원, 일) |
매출액 | 170,000 |
매출채권잔액 | 34,000 |
재고회전기간 | 32 |
매입채무지급기간 | 45 |
① 30
② 40
③ 50
④ 60
매출채권회수기간 = 매출채권잔액 / 매출액 x 365일 = 73일
자금조달기간 = 매출채권회수기간 - 매입채무지급기간 + 재고회전기간 = 73 - 45 + 32 = 60일
3. A사의 외상매출금 회수에 대한 회수율을 [보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구하고자 한다. 5월의 외상매출금 회수율(%)로 옳은 것은?
4월 매출액 : 8,000만원
4월 외상매출액 회수액 : 1,000만원
4월 말 외상매출금 잔액 : 1,000만원
5월 매출액 : 9,000만원
5월 외상매출액 회수액 : 2,000만원
5월 말 외상매출금 잔액 : 500만원
① 20% -> 당월 회수액 / (전월말 외상매출금 잔액 + 당월 매출액) x 100(%) = 2000 / (1000 + 9000) x 100 = 20%
② 30%
③ 40%
④ 50%
4. 신속대응(QR : Quick Response) 시스템 적용 시 소매업자 측면에서의 기대효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지비용 절감
② 고객서비스 제고
③ 재고 절감 및 미출고 예방 -> 창고관리시스템(WMS : Warehouse Management System)
④ 높은 상품회전율
5. 재고자산의 매입단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환경에서 재고자산을 평가할 때, 다음 중 매출원가가 가장 싼 평가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후입선출법
② 총평균법
③ 이동평균법
④ 선입선출법
-> 재고자산 매입단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 각 재고평가방법 결과 비교
기말 재고액 : 선입선출 > 이동평균 > 총평균 > 후입선출
매출 원가 : 후입선출 > 총평균 > 이동평균 > 선입선출
매출 총이익 : 선입선출 > 이동평균 > 총평균 > 후입선출
6. 철도 운송의 장단점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중량에 대한 제한이 거의 없다.
② 비교적 전천후 교통수단이다.
③ 중/장거리 대량 운송에 적합하다.
④ 일관운송이 용이하다. -> 화주(화물의 임자)의 문전 수송(Door to Door Delivery)을 위하여 부가적인 운송 수단 필요 - 일관운송이 이루어지지 못함
7. 거래일이 5월 27일로 결제조건이 3/8 EOM으로 표시되는 경우, 현금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는 현금 지급일 기한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5월 30일
② 6월 3일
③ 6월 5일
④ 6월 8일 -> EOM(End Of Month dating, 구매당월락 현금할인) : 관습상 25일 이후의 구매는 익월에 행해진 것으로 간주되어 그 할인기간이 익월의 1일부터 기산되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3/8 EOM은 3%의 현금할인을 위해서 익월 8일까지 대금을 지불해야한다는 의미
8. 원가구성이 다음 보기와 같을 때 제조원가로 옳은 것은?
이익 = 1,000
판매 및 관리비 = 500
제조간접비 = 1,000
직접원가 = 1500
직접경비 = 200
직접재료비 = 800
직접노무비 = 500
① 1,000
② 1,500
③ 2,000
④ 2,500
-> 직접원가 =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직접경비 = 800 + 500 + 200 = 1,500
-> 제조원가 = 직접원가 + 제조간접비 = 1,500 + 1,000 = 2,500
9. 구매계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매할 물건에 대한 거래의사를 합의함으로 성립하는 법률행위임
② 구매승낙 후에 계약서 작성일로부터 유효함 -> 구매 승낙 후의 계약서 작성은 이미 성립한 계약내용을 문서화하는 형식적인 행위에 불과함
③ 구매계약의 해제는 기 발생된 행위를 소급하여 무효로 함을 의미 -> "해제"는 소급하여 무효, "해지"는 미래에 대해서만 무효
④ 계약방법에는 경쟁입찰과 수의계약으로 구분함
생산2급
1. 다음 중 e-Business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위 시스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성과측정관리(BSC)
② EC(전자상거래) 시스템
③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④ 고객관계관리(CRM) 시스템
e-Business 지원 시스템 : 지식관리시스템(KMS),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경영자정보시스템(EIS), 고객관계관리(CRM), 공급망관리(SCM), 전자상거래(EC)
2. 다음에서 설명하는 수요예측기법은?
판매자료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관요인과 이동평균요인으로 구분하고 이를 통해 미래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① 이동평균법 -> 일정 기간 동안 제품 판매량을 기준으로 장기간의 평균적인 추세를 통해 수요를 예측하는 기법
② 지수평활법 -> 가장 최근 데이터에 가장 큰 가중치가 주어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중치가 기하학적으로 감소되는 가중치 이동 평균 예측 기법 중 하나
③ 패널동의법 -> 여러 패널을 구성하여 자유롭게 제신한 의견으로 예측치를 구하는 기법
④ ARIMA
3. 다음은 배치(batch) 방식으로 생산되고 안전재고 0의 제품 A의 주생산계획(MPS)이다. 제품 A의 2주차 납품가능수량(ATP)는? (단위 : 개)
현재고 = 1,600 , 1회 생산 batch 크기 = 2,500
주 | 1주차 | 2주차 | 3주차 | 4주차 |
수요예측량 | 1,000 | 1,000 | 1,000 | 1,000 |
실제주문량 | 1,200 | 800 | 300 | 200 |
기말재고 | 400 | 1,000 | 900 | 2,400 |
MPS | 2,500 | 2,500 | ||
ATP | 400 | ( ) | 2,200 |
① 1,000개
② 1,200개
③ 1,400개
④ 1,600개
1주의 ATP = 현재고 1,600 + MPS 0 - 1주의 주문량 1,200 = 400
2주의 ATP = 2주의 MPS 2,500 - (2주의 주문량 800 + 3주의 주문량 300) = 1,400
4. 부하율의 산출식으로 알맞은 것은?
① 실제할당시간 / 전체할당시간
② 실제작업시간 / 전체작업시간
③ 평균할당량 / 최대할당량
④ 평균작업량 / 최대작업량
5. 다음 중 SCM의 추진효과가 아닌 것은?
① 독립적 정보시스템 운영 -> 통합적 정보시스템 운영
② 구매비용 절감
③ 총체적 경쟁우위
④ 생산 효율화
'자격증 공부 > ERP정보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정보관리사 합격후기 - 2023년 4회 생산2급, 물류2급/시험 Tip (0) | 2023.08.09 |
---|---|
ERP정보관리사 시험후기 - 2023년 4회 생산2급, 물류2급 (2) | 2023.07.29 |
ERP정보관리사 오답노트(7) - 2021년 2회 기출문제 (6) | 2023.07.16 |
ERP정보관리사 오답노트(6) - 2021년 1회 기출문제 (0) | 2023.07.16 |
ERP정보관리사 오답노트(5) - 생산2급 (0) | 2023.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