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모해모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IP(아이피)와 PORT(포트)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IP(아이피)란?
IP(아이피)는 Internet Protocol(인터넷 프로토콜)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컴퓨터 또는 기기들이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하기 위한 주소이며, 인터넷이 통하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에 대한 규약을 의미합니다.
IP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찾아보면 IPv4, IPv4 체계나 OSI 7계층 등의 복잡한 설명이 나와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만, 저는 초보자의 시각에서 대략적인 의미를 학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초보 개발자 시각에서의 IP는 서버를 찾기 위한 번호이면서, haemo-dev.tistory.com/과 같이 이름을 붙여 구분하고 있다고 이해를 하였습니다.
PORT(포트)란?
PORT(포트)란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라고 합니다. 즉, 제 티스토리 주소인 https://haemo-dev.tistory.com/ 여기서 https://는 서버의 443번 포트를 사용하기 위함이고, 나머지 haemo-dev.tistory.com/ 이 부분은 IP라고 할 수 있습니다.
PORT(포트)는 IP 번호 뒤에 콜론(:)으로 이어 붙여서 사용합니다. 스프링을 접해보신 분들이라면 알겠지만, 스프링 부트 서버는 기본으로 8080 포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에서 잘 연결이 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주소창에 http://localhost:8080/이라고 입력해서 확인을 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포트 번호는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스프링 구동을 할 때 포트가 충돌한다고 해서 다양한 숫자로 바꿨던 경험이 있습니다만, 제가 앞으로 할 실습에서는 포트 번호를 최대한 바꾸지 않는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IP와 PORT의 관계는 위 그림처럼 이해하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아이피를 백화점이라고 생각하고, 포트를 각자 다른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매장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오늘은 IP와 PORT를 간단하게 학습해 보았습니다. 전문적인 내용을 얻으려면 위키백과나 나무위키 혹은 전문서적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초보 개발자의 시각에서 겉핥기 식으로 학습하고 있어서 사실 도움이 안 될 수도 있지만, 스프링 부트 개발을 하면서 좀 더 전문적으로 지식을 얻고싶을 때 찾아봐도 충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포스팅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에 대해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IT 공부 > 스프링 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용어 학습(5) - 자바 Annotation(어노테이션, 애너테이션) (2) | 2023.09.06 |
---|---|
자바 용어 학습(4) -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0) | 2023.09.06 |
자바 용어 학습(2) - 데이터베이스(DataBase) (4) | 2023.08.28 |
자바 용어 학습(1) - 서버/클라이언트 (0) | 2023.08.28 |
API 플랫폼 포스트맨(Postman) 설치하기 (2) | 2023.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