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해모해모입니다.
본격적으로 스프링 부트 학습에 들어가기 전에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자바 용어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서버/클라이언트부터 시작해서 데이터베이스, IP/Port,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그리고 자바 어노테이션까지 5단계로 나누어서 포스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첫번째 학습 용어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입니다.
클라이언트란?
▶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service user) - 사용자 혹은 사용자 단말기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요청하는 프로그램을 모두 말합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결과 화면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 때 주소 입력 후 엔터키를 눌러 정보를 요청하는 행위를 '서버에 요청한다.'라고 합니다.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로 접속하여 화면 출력을 위한 웹페이지를 수신하는 대표적인 클라이언트입니다.
서버란?
▶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service provider)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주체입니다. 서버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받은 요청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매우 큰 용량과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웹 2.0에서는 클라이언트이자 동시에 서버인 환경이 많아지면서 변화가 일고 있다고 합니다.
서버 유형에는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서버, 이름과 주소를 저장하는 이름 서버,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인쇄 작업을 스케줄하고 지시하는 인쇄 서버 등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란?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client-server model)은 서비스 요청자인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자원의 제공자인 서버 간에 작업을 분리해주는 분산 애플리케이션 구조이자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라고 하면 웹 시스템이 나오기 이전의, 사용자 PC에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화면을 처리하고 서버에서는 자료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일컫습니다.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사실 주저리 주저리 처음부터 글로 이해하기 보다는 일차적인 그림을 파악한 뒤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게 더 빨리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사실 유저(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라는 한 줄로 이해하고 넘어가면 됩니다.
다음 포스팅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IT 공부 > 스프링 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용어 학습(3) - IP(아이피)/PORT(포트) (0) | 2023.09.06 |
---|---|
자바 용어 학습(2) - 데이터베이스(DataBase) (4) | 2023.08.28 |
API 플랫폼 포스트맨(Postman) 설치하기 (2) | 2023.08.24 |
[스프링 부트] 개발환경 구축 - IntelliJ(인텔리제이) Gradle 프로젝트를 스프링 부트 3 프로젝트로 만들기 (2) | 2023.08.23 |
[스프링 부트] 개발환경 구축 - IntelliJ(인텔리제이) 프로젝트 생성/설정 (2) | 2023.08.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