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공정관리2

ERP정보관리사 오답노트(5) - 생산2급 생산계획 및 통제 1. 프로젝트 생산방식 : - MRP를 적용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든다. - 건물이나 교량, 배 등 장소의 제한을 받는다. - 전통적 스케쥴링 방식인 PERT/CPM이 주로 사용된다. - 제조한다기보다 구축한다는 개념이 더 강한 제품들이다. 2. Job Shop 생산방식 : - 주로 치공구, 기계장비류 등의 주문자 요구에 의한 방식에 적용된다. - 일반적으로 범용 기계를 활용하여 진행된다. - 공정별로 기계를 배치하게 된다. - 비교적 유연성이 높은 생산방식이다. 공정관리 1. 부하는 일반적으로 할당된 작업이라 할 수 있으며, 부하계획이란 최대작업량과 평균작업량의 비율인 부하율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작업량의 할당 계획이다. 2. 일정계획 : - 소일정계획(Detail.. 2023. 7. 16.
ERP정보관리사 생산2급 - 공정관리 공정관리란? 공정에 있어서 원재료로부터 최종제품에 이르기까지의 자재, 부품의 조립 및 완제품 조립의 흐름을 순서 정연하게 능률적인 방법으로 계획하고, 공정을 결정하고(routing), 일정을 세워(scheduling), 작업을 할당하고(dispatching), 신속하게 처리하는(expediting) 절차 공정의 분류 구분 세부내용 가공공정(Operation) 제조의 목적을 직접적으로 달성하는 공정 - 부가가치 창출 운반공정(Transportation) 특정 작업영역에서 다른 작업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적재, 이동, 하역 등을 하고 있는 상태 검사공정(Inspection) 양적 검사 - 수량, 중량의 측정 질적 검사 - 가공부품의 가공정도 확인, 가공 부품을 품질 및 등급별로 분류 정체공정(Delay) .. 2023. 7.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