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ADsP

ADsP 오답노트(2) - 데이터 분석 기획

by 해모해모 2023. 8. 9.
728x90
반응형

1. 분석 기획 고려사항 중 장애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 비용대비 효과의 적정한 비용

- 분석 모형의 안정적 성능 확보 

- 이해도 높은 모형보다는 복잡하고 정교한 모형

- 조직 역량으로 내재화를 위한 변화 관리

 

2. 다양한 데이터 유형 중 정형 데이터 - 반정형 데이터 - 비정형 데이터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 Demand Forecasts - Competitor pricing - Email records

→ 정형 : ERP, CRM, SCM 등의 정보시스템

반정형 : 로그 데이터, 모바일 데이터, 센싱 데이터

→ 비정형 : 영상, 음성, 문자 등

- Facebook status - Weather data - Web logs

- RFID - Internet of things sensing - Loyalty program

- CRM Transaction data - Twitter feeds - Mobile location

 

3. CRISP-DM 방법론의 모델링 단계에 수행하는 테스크(task)는?

모델링 기법 선택, 모델 테스트 계획 설계, 모델 작성, 모델 평가

 

4.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분석기획 단계 순서는?

프로젝트 범위 설정 -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정의 - 프로젝트 수행계획 수립 - 데이터 분석 위험 식별

 

5.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에서 단계 간 피드백이 반복적으로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단계는?

데이터 준비단계 -> 데이터 분석 단계 → 추가적인 데이터 확보가 필요한 경우, 데이터 준비 단계로 피드백하여 단계를 반복한다.

 

6.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채널(Channels)에 대한 기능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채널은 기업이 고객세그먼트에게 가치를 제안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전달하는 방법을 의미. 커뮤니케이션, 물류, 판매채널 등 기업과 고객의 인터페이스 전반.

- 해당 고객에게 접근하는 유통 채널을 공급한다.

- 고객에게 밸류 프로포지션을 전달한다.

- 구매 고객에 대한 에프터서비스(A/S)를 제공한다.

-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이해를 높여준다.

 

7.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8. 데이터 분석에서 분석과제를 발굴할 때, 하향식 접근 방식의 단계에서 타당성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도출된 분석 문제에 대한 대안을 과제화하기 위해서는 다각적 타당성 검토가 필요하다.

- 경제적 타당성은 비용대비 효익의 관점에서 평가한다.

- 데이터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문제발생 포인트에 대한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다. → 데이터 타당성에 대해서는 데이터 존재 여부, 분석 시스템 환경, 분석 역량에 대한 검토가 필요

- 기술적 타당성 분석 시 적용 가능한 요소기술 확보 방안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하다.

 

9. 다음 중 '분석과제 정의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분석과제 정의서'에는 소스 데이터, 데이터 입수 및 분석의 난이도, 분석방법 등에 대한 항목이 포함되어야 한다.

- '분석과제 정의서'에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이해관계자가 프로젝트의 방향을 설정하고 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없는 자료이다.

- '분석과제 정의서'에는 분석모델에 적용될 알고리즘과 분석모델의 기반이 되는 Feature가 포함되어야 한다.

- '분석과제 정의서'는 프로젝트 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한 중간 결과로써 구성 항목(Configuration Item)으로 도출할 필요는 없다.

 

10. 다음 중 분석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데이터 분석 모델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SPICE를 활용할 수 있다.

- 분석 프로젝트 관리는 KSA ISO 21500:2013를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다.

- 분석 프로젝트의 일정계획 수립시 데이터 수집에 대한 철저한 통제와 관리가 필요하다. →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에서는 분석 범위가 빈번하게 변경되므로 사전에 계획한 일정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Time Boxing 기법과 같은 방법으로 일정관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

- 분석 프로젝트의 최종 산출물이 보고서인지 또는 시스템인지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에 차이가 있다. 

 

11. 다음 중 데이터 분석을 위한 수준진단에서 '분석 준비도'의 분석 데이터의 진단 항목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분석 업무를 위한 데이터 충실성, 신뢰성, 적시성

- 내부데이터 집중 활용 체계 → 외부데이터 활용 체계

- 기준데이터 관리(MDM)

- 비구조적 데이터 관리

 

12. 기업의 데이터 분석과제 수행을 위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 준비도(Readiness)를 파악해야 한다. 다음 중 데이터 분석 준비도 프레임워크에서 분석 업무 파악 영역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발생한 사실 분석 업무, 예측 분석 업무, 시뮬레이션 분석 업무, 최적화 분석 업무, 분석 업무 정기적 개선

- 최적의 분석 업무

- 업무별 적합한 분석 기법

- 예측 분석 업무

- 발생한 사실 분석 업무

 

13. [메타데이터 관리, 데이터 사전관리, 데이터 생명주기 관리]데이터 거버넌스 체계가 설명하는 항목은?

데이터 관리 체계

 

14. 분석 마스터 플랜 수립에서 과제 우선순위 결정과 관련한 내용으로 부적절한 것은?

- 가치는 투자비용 요소이다. → 가치는 비즈니스 효과에 해당하며, 크기/다양성/속도가 투자비용 요소에 해당

- 전략적 중요도, ROI, 실행 용이성은 분석과제 우선순위 결정에 고려할 사항이다.

- 시급성과 전략적 필요성은 전략적 중요도의 평가 요소이다.

- 적용 기술의 안정성 검증은 기술 용이성의 평가 요소이다.

 

15. 다음 중 분석 기회 발굴의 범위 확장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 거시적 관점의 메가트랜드에서는 현재의 조직 및 해당 산업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사회/기술/경제/환경/정치 영역으로 나누어서 좀 더 폭넓게 기회 탐색을 수행한다.

- 경쟁자 확대 관점에서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사업 영역의 직접 경쟁사 및 제품, 서비스를 중심으로 현 상황에 대한 분석 기회 발굴의 폭을 넓혀서 탐색한다. → 경쟁자 확대 관점에서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사업 영역의 직접 경쟁사 및 제품/서비스 뿐만 아니라 대체재와 신규 진입자 등으로 관점을 확대하여 위협이 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분석 기회 발굴의 폭을 넓혀서 탐색

- 시장의 니즈 탐색 관점에서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사업에서의 직접 고객 뿐만 아니라 고객과 접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채널 및 고객의 구매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자들에 대한 폭넓은 관점을 바탕으로 분석 기회를 탐색한다.

- 역량의 재해석 관점에서는 현재 해당 조직 및 기업이 보유한 역량뿐만 아니라 해당 조직의 비즈니스에 영향을 끼치는 파트너 네트워크를 포함한 활용 가능한 역량을 토대로 폭넓은 분석 기회를 탐색한다.

 

16. 다음 중 분석과제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과제발굴단계에는 분석 아이디어 발굴, 분석과제 후보제안, 분석과제 확정 프로세스가 있다.

- 분석과제로 확정된 분석과제를 풀(Pool)로 관리한다. → 분석과제 중에 발생된 시사점과 분석 결과물이 풀(Pool)로 관리되고 공유되며, 확정된 분석과제는 관리하지 않는다.

- 분석과제 중에 발생된 시사점과 분석 결과물은 풀(Pool)로 관리하고 공유된다.

- 과제수행단계에서는 팀 구성, 분석과제 실행, 분석과제 진행관리, 결과 공유 프로세스가 있다.

 

17. 다음 중 기존에 행해졌던 데이터 분석과 비교한 빅데이터 분석의 특징으로 부적절한 것은?

- 분석대상 데이터를 모든 형태 및 내외부 데이터로 확대한다.

- 데이터의 생산 시점에서부터 실시간에 가까운 분석이 가능하다.

- 데이터 마트에 정형 데이터를 적재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모델을 만들 수 있다.

- 고급 분석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 고급분석 기법은 기존에 행해졌던 데이터 분석에도 활용되었다.

 

18. 다음 중 빅데이터 분석에서 Self Service Analytic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Self Service Analytics에 포함되어야 하는 주요 기능은 BI도구, Ad hoc Report, OLAP, Visual Discovery, MachineLearning 등이다.

- Self Service Analytics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Reference Method의 작성 및 공유, 표준 데이터의 활용, 데이터 거버넌스, 도구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Self Service Analytics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R, Python 등의 데이터 분석 언어와 많은 통계적 지식을 필요로 한다.

- Self Service Analytics는 상업용뿐만 아니라 OSS(Open Service Software)로도 구현되고, 분석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분산처리도 지원하고 있다. → 분산처리는 지원하지 않는다.

 

19.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분석 기획 단계에서 프로젝트 위험 대응 계획을 수립할 때 예상되는 위험에 대한 대응 방법의 구분은? 회피(Avoid), 전이(Transfer), 완화(Mitigate), 수용(Accept)

 

20.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에서 데이터 저장소(Repository) 관리란 메타데이터 및 표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전사 차원의 저장소로 구성된다. 저장소는 데이터 관리 체계 지원을 위한 워크플로우 및 관리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지원하고 관리 대상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데이터 구조 변경에 따른 사전 영향 평가도 수행되어야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21. 문제 탐색을 통해서 식별된 비즈니스 문제를 변환하는 단계로써, 문제 탐색 단계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한 관점이었다면, 문제 정의 단계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및 기법(How)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의 문제로의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22. 분석 모델을 가동중인 운영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델에 대한 상세한 '알고리즘 설명서'가 필요하다. '알고리즘 설명서'는 '시스템 구현' 단계에서 중요한 입력 자료로 활용되므로 필요시 의사 코드 수준의 상세한 작성이 필요하다.

 

23. 분석 과제 관리 프로세스는 크게 과제 발굴과 과제 수행으로 나누어진다. 조직이나 개인이 도출한 분석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과제화하여 분석 과제 풀(Pool)로 관리하면서 분석 과제가 확정되면 팀구성, 분석과제 실행, 분석과제 진행관리, 분석과제 결과 공유/개선의 분석과제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24.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9가지 블록을 단순화하여 업무, 제품, 고객 단위로 문제를 발굴하고 이를 관리하는 규제와 감사, 지원 인프라 영역으로 나눠 분석 기회를 도출한다.

 

25. KDD 분석 방법론에서 잡음, 이상치, 결측치를 식별하여 분석용 데이터셋을 선택하고 분석에 필요한 변수 등을 선정하는 단계와 유사한 CRISP-DM 방법론의 단계는? 데이터 준비

 

26. 합리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소로써 표현방식 및 발표자에 따라 동일한 사실에도 판단을 달리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프레이밍 효과

 

27. 문제가 주어지고 이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하여 각 과정이 체계적으로 단계화되어 수행하는 분석과제 발굴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하향식 접근 방식

 

28. 소프트웨어와 시스템공학의 역량 숙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로 소프트웨어 품질보증과 시스템 엔지니어링 분야의 품질보증 기술을 통합하여 개발된 평가모델로 1~5단계로 구성된 성숙도 모델은? CMMI(능력 성숙도 통합모델)

 

29.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시스템의 중장기 로드맵을 정의하기 위한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을 수행한다. ISP는 정보기술 또는 정보시스템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직 내/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기회나 문제점을 도출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시스템 구축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절차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